많은 기업들은 신제품을 출시하기 전이나 새로운 제품에 대한 반응, 새로운 기회 탐색, 브랜드에 대한 태도 등을 측정하기 위해 마케팅 리서치 기법을 사용합니다. 보통 정량조사/정성조사라는 큰 틀 안에서 샘플링 방식이나 구조화된 질문지 형태, 대면/비대면 방식을 적용합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조화된 질문지에 기반한 정량조사는 소비자의 기억에 의존하는 조사방법입니다. 다양한 주제에 대해 조사 목적에 부합하는 질문지를 통해 답변을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인 정량조사 중 하나인 투표 후 출구조사 모습) 기억, 얼마나 믿을 수 있을까? 그런데 이런 질문지에 기초한 정량조사에 있어 근본적인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응답자들의 성실도뿐만 아니라 그들의 기억이 얼마나 정확한가 입니다...
마케팅&브랜딩/Technology
2013. 3. 25. 02:30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쇼핑
- 애플
- 라이프스타일
- 펩시
- 브랜딩
- 마케팅
- 세대전쟁
- 마케팅전략
- 광고
- 포지셔닝
- 트렌드모니터
- 스마트폰
- 브랜드
- SNS
- 맥주
- 세대갈등
- 가치
- 마케팅의 역사
- 행동경제학
- 혁신
- 트렌드
- 자동차
- 코카콜라
- 경영
- 수요음악산책
- 빅데이터
- 브랜드전략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증강현실
- 역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