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최근 인터브랜드 한국법인에서 '베스트 코리아 브랜드 2014'를 발표했죠(2014.2.20). 삼성전자를 위시한 여러 브랜드들이 목록에 있었습니다.
[ 베스트 코리아 브랜드 2014]
BKB |
Rank |
Change |
Brand-KR |
Sector |
Brand Value |
Brand Value |
BV % |
1 |
1 |
= |
삼성전자 |
Electronics |
45,740,816 |
37,202,048 |
23% |
2 |
2 |
= |
현대자동차 |
Automotive |
10,397,635 |
8,452,288 |
23% |
3 |
3 |
= |
기아자동차 |
Automotive |
5,436,702 |
4,624,000 |
18% |
4 |
4 |
= |
SK텔레콤 |
Telecommunications |
4,452,064 |
4,284,851 |
4% |
5 |
5 |
= |
포스코 |
Steel |
2,879,911 |
2,729,891 |
5% |
7 |
6 |
▲ |
삼성생명보험 |
Insurance |
2,858,717 |
2,603,067 |
10% |
10 |
7 |
▲ |
LG전자 |
Electronics |
2,762,389 |
2,204,061 |
25% |
8 |
8 |
= |
NHN |
Internet Service |
2,649,678 |
2,538,296 |
4% |
6 |
9 |
▼ |
국민은행 |
Banking |
2,614,759 |
2,669,660 |
-2% |
9 |
10 |
▼ |
신한카드 |
Financial Services |
2,526,051 |
2,222,878 |
14% |
12 |
11 |
▲ |
KT |
Telecommunications |
2,108,014 |
2,004,322 |
5% |
11 |
12 |
▼ |
신한은행 |
Banking |
1,913,332 |
2,134,844 |
-10% |
13 |
13 |
= |
하나은행 |
Banking |
1,855,303 |
1,938,197 |
-4% |
14 |
14 |
= |
현대중공업 |
Heavy Industry |
1,807,399 |
1,872,399 |
-3% |
16 |
15 |
▲ |
삼성화재해상보험 |
Insurance |
1,791,510 |
1,797,587 |
0% |
17 |
16 |
▲ |
현대모비스 |
Automotive |
1,628,670 |
1,376,253 |
18% |
15 |
17 |
▼ |
LG화학 |
Chemical |
1,618,873 |
1,817,782 |
-11% |
18 |
18 |
= |
롯데쇼핑 |
Retail |
1,515,903 |
1,280,917 |
18% |
20 |
19 |
▲ |
아모레퍼시픽 |
FMCG |
1,325,573 |
1,156,159 |
15% |
19 |
20 |
▼ |
현대카드 |
Financial Services |
1,294,188 |
1,223,220 |
6% |
21 |
21 |
= |
삼성카드 |
Financial Services |
1,244,905 |
1,138,495 |
9% |
23 |
22 |
▲ |
교보생명보험 |
Insurance |
1,229,827 |
1,024,654 |
20% |
22 |
23 |
▼ |
삼성물산 |
Construction |
1,225,198 |
1,099,665 |
11% |
24 |
24 |
= |
현대건설 |
Construction |
1,043,238 |
998,954 |
4% |
26 |
25 |
▲ |
한국타이어 |
Automotive |
899,588 |
778,133 |
16% |
25 |
26 |
▼ |
SK이노베이션 |
Energy |
874,236 |
908,907 |
-4% |
|
27 |
|
KT&G |
Tobacco |
862,724 |
New |
New |
28 |
28 |
= |
LG생활건강 |
FMCG |
711,749 |
584,511 |
22% |
|
29 |
|
이마트 |
Retail |
708,261 |
New |
New |
27 |
30 |
▼ |
현대백화점 |
Retail |
693,734 |
682,040 |
2% |
30 |
31 |
▼ |
CJ제일제당 |
Food & Beverage |
625,134 |
502,655 |
24% |
29 |
32 |
▼ |
하이트진로 |
Alcohol |
544,071 |
518,629 |
5% |
|
33 |
|
삼성증권 |
Securities |
528,819 |
New |
New |
|
34 |
|
CJ 오쇼핑 |
Retail |
469,756 |
New |
New |
|
35 |
|
두산인프라코어 |
Heavy Industry |
469,058 |
New |
New |
|
36 |
|
호텔 신라 |
Hospitality |
460,497 |
New |
New |
|
37 |
|
현대해상보험 |
Insurance |
458,496 |
New |
New |
|
38 |
|
현대캐피탈 |
Financial Services |
413,988 |
New |
New |
|
39 |
|
롯데 하이마트 |
Retail |
401,570 |
New |
New |
|
40 |
|
S 오일 |
Energy |
400,522 |
New |
New |
|
41 |
|
LG U+ |
Telecommunications |
393,323 |
New |
New |
|
42 |
|
한화생명보험 |
Insurance |
392,083 |
New |
New |
|
43 |
|
미래에셋 |
Securities |
388,136 |
New |
New |
|
44 |
|
동부화재해상 |
Insurance |
380,895 |
New |
New |
|
45 |
|
CJ E&M |
Entertainment |
355,483 |
New |
New |
|
46 |
|
삼성중공업 |
Heavy Industry |
343,851 |
New |
New |
|
47 |
|
GS 홈쇼핑 |
Retail |
334,217 |
New |
New |
|
48 |
|
현대홈쇼핑 |
Retail |
312,577 |
New |
New |
|
49 |
|
비씨카드 |
Financial Services |
299,097 |
New |
New |
|
50 |
|
농심 |
Food & Beverage |
291,209 |
New |
New |
재미있는 점은 작년과 달리 올해는 50위권까지 발표되었다는 점입니다. 왜 그럴까요? 한 가지 짚히는 이유는 있습니다. 그건 바로 많은 국내 기업들이 이제 이런 브랜드 가치 평가에 매우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자체적인 브랜드 자산 평가나 인지도 측정에서 벗어나 외부 공신력 있는 기관의 평가치를 보다 공정한 성과 측정 지표로 바라보기 때문에 그런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브랜드 자산 평가?
그런데 이거 흥미로운 사안입니다. 왜냐하면 경영층이 브랜드를 과거보다 관심 있게 바라본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이긴 하지만 과연 이런 방식의 평가가 기업에게 어떤 이익이 있느냐 하는 점입니다.
사실 인터브랜드의 브랜드 자산 평가 모델이 업계에 나와 있는 유일한 모델은 아니죠. 많은 컨설팅 업체, 회계법인, 광고대행사 등이 자산 평가 모델을 개발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세계적 인지도 측면에서는 인터브랜드의 모델이 가장 앞서 있다고 할 수 있죠. 하지만 인터브랜드 모델은 매우 많은 요소들이 다소 자의적인 가중치를 부여 받고 객관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운 개념들이 적용되어 있습니다. 게다가 이 모델은 근본적인 가정이 재무적 가치에 중점을 둔 자산화 모델이기 때문에 성장 가능성이나 잠재 가치를 파악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위 순위표를 봐도 알 수 있지만 인터브랜드의 자산 평가 순위는 거의 대부분 시장 점유율, 매출액, 영업이익 등을 기준으로 해도 유사한 결과를 낳게 됩니다. 즉 현재 가치에 충실한 결과라고 할 수 있죠.
평가의 목적에 부합하는 모델링
이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이렇습니다. 인터브랜드 모델이 잘못되었다는 것이 아닙니다. 분명 인터브랜드 모델은 현재 가치를 측정하는 측면에서, 그것도 산업계를 망라하고 단일 측정 지표인 현금화를 통해 순위를 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훌륭한 측면을 갖고 있습니다. 단지 브랜드 자산 평가가 어떤 것인지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인터브랜드 모델은 다양한 재무/회계적 요소에 근간을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전형적으로 현재의 가치에 집중합니다. 따라서 위 결과가 기업의 미래를 위한 현재 활동을 평가하는 데 쓰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올해 발표된 인터브랜드 코리아의 '베스트 코리아 브랜드 50'를 보면서 많은 기업들이 이 순위에 오르는 것을 바라고 있구나...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 기업 내부에서 인터브랜드의 브랜드 자산 평가를 현재 자신들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평가 지표 (혹은 그에 준하는 것)로 활용하고 있구나 하는 의구심이 든 것입니다.
기업에서 자신들의 마케팅 혹은 전략적 경영활동이 브랜드의 경쟁 우위에 도움이 되는가 등을 평가하려면 인터브랜드의 자산 평가 모델보다는 시장 내 경쟁 관점에서의 평가 모델이 더 적합합니다. 인터브랜드 모델은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적절할 것입니다. 차별적 우위 보다 위와 같은 자사 평가 순위에 집착한다면 선두주자의 게임 법칙에서 벗어나기 힘들 기 때문입니다.
왜 브랜드 평가를 하려 하는가? 무슨 목적으로? 이 질문에 더 충실한 모델이나 측정 방법을 고민해야 할 시기입니다.
Copyrights ⓒ 2014 녹차화분 All rights reserved.
'마케팅&브랜딩 > 마케터의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떻게 통계 결과를 해석할 것인가? 조선일보 '자긍심' 조사결과를 보고 (0) | 2015.03.05 |
---|---|
정부와 최근 대학가의 구조개혁을 보면서 (0) | 2015.03.03 |
대한항공의 땅콩 회황 관련 위기 관리 방식을 보며 (0) | 2014.12.09 |
모뉴엘 사건을 보면서 (0) | 2014.12.08 |
[행사안내] Marketing Metrics 2013 (0) | 2013.08.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가치
- 역사
- 브랜딩
- 세대전쟁
- 마케팅전략
- 쇼핑
- 증강현실
- 경영
- 맥주
- 세대갈등
- 애플
- 수요음악산책
- 브랜드전략
- 라이프스타일
- 마케팅
- 혁신
- 코카콜라
- 트렌드
- 마케팅의 역사
- 트렌드모니터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브랜드
- 펩시
- 스마트폰
- SNS
- 빅데이터
- 포지셔닝
- 행동경제학
- 자동차
- 광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